광산 김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산 김씨는 신라 말 김흥광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김흥광은 고려 개국공신 김길의 조부로서 광산부원군에 봉해졌으며, 그의 후손들은 광주 광산을 본관으로 삼았다. 조선 시대에는 문과 급제자 263명, 정승 5명, 대제학 7명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김장생, 김집, 김만중 등이 있으며, 인경왕후, 김만기, 김진규, 김양택 등도 광산 김씨 가문에서 나왔다. 광산 김씨는 문정공파, 문숙공파, 양간공파 등 5개의 주요 파로 나뉘며, 특히 양간공파가 가장 많은 후손을 거느리고 있다. 현재는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등을 중심으로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김마리아, 김수환, 김우중, 김춘수, 김용건, 현빈, 유진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광산 김씨 가문에서 배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산 김씨 - 김하중
김하중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으로, 제34대 통일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주중국 대사, 대통령 의전비서관, 외교안보수석비서관 등을 거쳐 외교 경험을 바탕으로 저서를 출간했다. - 광산 김씨 - 김용익 (1952년)
김용익은 1952년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국회의원,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 등을 역임하고 의료 및 복지 분야 정책 수립에 참여하며, 현재는 재단법인 돌봄과 미래 이사장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 의료 및 복지 분야 전문가이다.
광산 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광산 김씨 (光山 金氏) |
로마자 표기 | Gwangsan Kim clan |
관향 |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봉산면 |
시조 | 김흥광(金興光) |
국가 |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설립 | 김흥광 |
웹사이트 | 광산김씨 대종중 |
원시조 | 김알지(金閼智) |
인구 통계 | |
2015년 인구 | 926,316명 |
순위 | 8위 |
주요 인물 | |
고려 시대 | 김태현 |
조선 시대 | 김한로 김국광 김겸광 김구 김계휘 김덕령 김장생 김집 인경왕후 김익희 김익겸 김익훈 김익경 김만기 김만중 김일경 김진규 김춘택 김상복 김영철 |
근현대 | 김철수 김동한 김수환 김춘수 김우중 김용준 김대중 김완주 김하중 김희중 김장수 김용옥 김황식 김효석 김용익 김재균 김우남 김선수 김선동 김태년 김용태 김한규 |
가문 상징 | |
2. 시조
김흥광(金興光)은 남북국 시대 신라 말기 나라가 어지러워 장차 국난이 일어날 것을 알고 무진주 추성군 서일동(현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평장리)에 은거하였다고 한다. 《동국만성보》 및 《조선씨족통보》에는 신라 49대 헌강왕의 왕자로 기록되어 있으나, 《광산김씨 정유대동보》, 《신라김씨선원보》, 《계림대보》, 《경주김씨보》 등에는 신라 45대 신무왕 셋째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
광산 김씨는 조선시대에 많은 인재를 배출한 가문이다.[21] 김장생은 문묘에 종사되었고, 그의 아들 김집은 문묘와 종묘에 배향되었다.
김길이 고려의 개국공신이 되어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오르자 김길의 조부인 김흥광은 광산부원군(光山府院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이후 조부의 작호(爵號)이자 세거지(世居地)인 광주 광산(光山)을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 왔으며, 후손들 중 평장사(平章事:정2품)가 8명이나 배출되자 사람들이 서일동(현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을 평장동(平章洞)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 명칭은 지금까지도 남아 평장리(平章里)로 불리고 있다.
3. 역사
3. 1. 주요 인물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263명(문과 갑과 장원급제자 12명), 정승 5명, 대제학 7명, 청백리 4명, 왕비 1명을 배출했다.[21]
양간공파 대사간 김극뉴의 현손인 김장생은 문묘에 종사되었고, 그의 아들 김집은 문묘와 종묘에 배향되었다. 김장생 후손 중에 대제학이 7명이나 배출되었다.[22] 김장생의 증손자인 김만기와 김만중 형제가 대제학에 올랐다. 김만기의 아들 김진규도 예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냈고, 그의 아들 김양택도 대제학과 영의정을 지냈다.3. 2. 조선 왕실과의 관계
4. 분파
광산 김씨는 크게 '문정공파', '문숙공파', '양간공파', '낭장공파', '사온서직장공파' 5파로 분류된다. 양간공파 후손들이 70%로 제일 많고 현달한 인물을 많이 배출하였다.
- 문정공파(文正公派) - 15세 김태현
- 문숙공파(文肅公派) - 14세 김주정
- 양간공파(良簡公派) - 14세 김연
- 낭장공파(郎將公派) - 14세 김규
- 사온직장공파(司醞直長公派) - 16세 김영
5. 집성촌
지역 | 2015년 인구 | 총인구 | 비율(%) |
---|---|---|---|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 22,835명 | 425,969명 | 5.34% |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서면 청양리 | 646명 | 42,501명 | 1.52% |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덕산리, 대덕면 엄동리 | 3,231명 | 171,855명 | 1.88%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금광동 | 4,583명 | 199,872명 | 2.29% |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신복리, 강하면 화양리 | 1,918명 | 93,485명 | 2.05%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상두리 | 11,011명 | 532,886명 | 2.07% |
경기도 양주시 주내면 마전리 | 3,742명 | 184,161명 | 2.03% |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척령리, 겸백면 용산리 | 1,934명 | 37,124명 | 5.21%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신연리, 덕진면 강정리, 군서면 정리, 도포면 완화리, 시종면 방두리, 삼호면 난전리, 덕진면 남성촌, 서호면 회현리, 서호면 서호리, 시종면 금성리, 영암군 농덕리, 서호면 태백리, 군서면 모정리 | 2,424명 | 52,258명 | 4.64% |
전라남도 나주시 왕곡면 옥곡리 | 4,428명 | 85,818명 | 5.16% |
전라북도 고창군 상하면, 고창읍 내동리, 무장면 무장리 | 3,248명 | 50,671명 | 6.41% |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면 삼덕리 | 1,503명 | 73,718명 | 2.04% |
경상남도 거제시 둔덕면 감목리, 동부면 가배리 | 3,316명 | 228,416명 | 1.45% |
경상남도 밀양시 상남면 세천리 | 859명 | 94,187명 | 0.91%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신성리, 예안면 동천리 | 2,294명 | 160,475명 | 1.43%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임리, 부적면 신풍리 | 4,359명 | 112,712명 | 3.87%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난산리 (옛 남제주군) | 6,295명 | 130,269명 | 4.83% |
황해도 봉산군 서종면 대한리[20] | - | - | - |
6. 현대 인물
- 김마리아 (1891–1944), 한국 독립운동가[2]
- 김수환 (1922–2009), 대한민국 추기경[3]
- 김용산 (1922–2011), 대한민국 기업인[3]
- 김춘수 (1922–2004), 대한민국 시인[4][5]
- 김용섭 (1936–2020), 대한민국 역사학자[6]
- 김우중 (1936–2019), 대한민국 기업인[3]
- 김용건 (1946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4]
- 김희중 (1947년 출생), 대한민국 로마 가톨릭 주교[7]
- 김장수 (1948년 출생), 대한민국 장군, 정치인[4]
- 도올 (본명: 김용옥, 1948년 출생), 대한민국 학자[7]
- 김황식 (1948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4]
- 김갑수 (1957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7]
- 김응수 (1961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8]
- 김선동 (1963년 출생), 대한민국 정치인[9]
- 김상중 (1965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10]
- 김수로 (1970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11]
- 김택수 (1970년 출생), 대한민국 탁구 선수[4]
- 수키 김 (1970년 출생), 한국계 미국인 저널리스트, 작가[12]
- 김명민 (197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10]
- 김태호 (연출가) (1975년 출생), 대한민국 텔레비전 연출가[7]
- 유진 (가수) (본명: 김유진, 1981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 가수[7]
- 현빈 (본명: 김태평, 198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7]
- 김아중 (1982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4]
- 폴킴 (1988년 출생), 대한민국 싱어송라이터[13]
- 유이 (본명: 김유진, 1988년 출생), 대한민국 배우[14]
- 솔라 (가수) (본명: 김용선, 1991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걸그룹 마마무의 멤버[11]
- 진 (가수) (본명: 김석진, 1992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보이 밴드 방탄소년단의 멤버[15]
- 뷔 (가수) (본명: 김태형, 1995년 출생), 대한민국 가수, 보이 밴드 방탄소년단의 멤버[13]
- 민규 (래퍼) (본명: 김민규, 1997년 출생), 대한민국 래퍼, 보이 밴드 세븐틴의 멤버
7. 항렬자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51세 | 52세 | 53세 | 54세 | 55세 | 56세 | 57세 | 58세 |
---|---|---|---|---|---|---|---|---|---|---|---|---|---|---|---|---|---|---|---|---|---|---|---|---|---|---|---|---|---|---|
익(益) | 만(萬) | 진(鎭) | 口택(澤) | 상(相) | 口기(箕) | 재(在) | 口현(鉉) | 영(永) | 口수(洙) | 용(容) | 口중(中) | 선(善) | 口순(淳) | 동(東) | 口환(煥) | 규(奎) | 口용(鏞) | 연(淵) | 口식(植) | 형(炯) | 口곤(坤) | 수(銖) | 口홍(洪) | 종(種) | 口헌(憲) | 중(重) | 口흠(欽) | 태(泰) | 口걸(杰) | 병(炳) |
참조
[1]
웹사이트
광산김씨(光山金氏)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
[2]
뉴스
"임시의정원 첫 女의원 김마리아 동상을 국회에 세우자"
https://www.chosun.c[...]
2023-02-27
[3]
뉴스
광산김씨
https://news.joins.c[...]
1982-07-03
[4]
웹사이트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광산김씨
https://www.segye.co[...]
2011-06-21
[5]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6]
논문
Between Family, Nation, and Scholarship: Negotiating Ancestral Origins in Post-1945 South Korea
https://journals.sag[...]
2024-01-01
[7]
웹사이트
스카이데일리, 김수환 추기경 가문, 왕건의 개국공신 명문가
https://skyedaily.co[...]
[8]
뉴스
김응수 "하정우, 같은 ‘광산 김가’→족보상 손자뻘" 영화 ‘피랍’ 적극 홍보까지 (‘라스’)
https://www.chosun.c[...]
2023-05-03
[9]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Parliamentarian Society
https://rokps.or.kr/[...]
[10]
뉴스
'개과천선' 김상중 "김명민에게 연기 지적, 기억 안 나"
https://www.metroseo[...]
[11]
뉴스
'1대 100' 마마무 솔라 "김수로와 먼 친척, 조카뻘이다"
https://www.chosun.c[...]
[12]
서적
Without You, There Is No Us: Undercover Among The Sons Of North Korea's Elite
Crown
2014
[13]
웹사이트
폴킴, 사석에서 만난 방탄소년단 "뷔와 본명 같아"
http://news.kmib.co.[...]
2019-01-31
[14]
웹사이트
‘하나뿐인 내편’ 김승현 부자 깜짝 출연, 인증샷 "유이도 광산 김씨"
http://www.mbn.co.kr[...]
2019-03-18
[15]
웹사이트
'살림남2' 김승현 고모 "방탄소년단 뷔X진과 같은 혈통"[결정적장면]
https://m.news.nate.[...]
[16]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17]
문서
무과 276명, 생원 350명, 진사 402명 등을 모두 합치면 1,028명이다.
[18]
문서
문형으로 불리는 양관대제학은 7명이나, 예문관 대제학을 지낸 김한로를 포함하면 8명이다.
[19]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
웹사이트
김씨(金氏) 본관(本貫) 광산(光山)입니다.
http://www.findroot.[...]
[21]
문서
무과 276명, 생원 350명, 진사 402명 등을 모두 합치면 1,028명이다.
[22]
문서
문형으로 불리는 양관대제학은 7명이나, 예문관 대제학을 지낸 김한로를 포함하면 8명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